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워라밸 최고라는 교육행정직 공무원/연봉, 시험일정, 시험과목, 채용인원

by 린이 Lynn 2021. 4. 8.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교육행정직 공무원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반적으로 공무원이라고 하면 동사무소나 시청에서 근무하는 공무원들을 생각하실 겁니다.

그런데 교육행정직 공무원은 학교에서 근무를 합니다.

학교 행정 업무를 수행하는데 회계, 시설관리 등의 업무를 담당하는 공무원입니다.

 

국가직은 교육부, 국공립대학교에서 근무를 하고

지방직은 지방 교육청이나 학교 행정실에서 근무를 합니다.

기본 적으로 2년마다 순환근무를 하며 바로 옮기기 어려운 사정이 있을 경우에는 6개월 유예 신청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교육행정직 공무원 응시자격

교육행정직 공무원은 7급과 9급을 채용합니다.

응시자격은 7급은 만 20세, 9급은 만 18세 이상이면 응시가 가능합니다.

 

 

교육행정직 공무원 시험과목

7급은 국어, 영어, 한국사, 헌법, 행정법, 교육학, 행정학으로 시험을 치릅니다.

2021년도부터는 국어, 영어, 한국사 대신 PSAT으로 대체됩니다.

9급은 국어, 영어, 한국사, 행정법, 교육학개론으로 5과목으로 시험을 치르게 됩니다.

 

 

교육행정직 공무원 장점

교육행정직 공무원은 일반 공무원보다 경쟁률이 높습니다.

이유는 워라밸이 지켜진다는 큰 장점이 있기 때문입니다.

일반적으로 4시 30분에 퇴근할 수 있고, 평균적으로 2년이 있으면 8급으로 승진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또한 공휴일, 주말 등 법적 공휴일에는 모두 쉴 수 있습니다.

학교에서 근무를 하다 보니 다른 부처보다 민원인의 범위가 좁아 민원 스트레스가 비교적 적다고 합니다.

 

 

 

교육행정직 공무원 시험일정

공무원은 국가직, 서울직, 지방직으로 채용을 합니다.

하지만 서울직과 지방직이 보통 같은 날에 시험을 치기 때문에 서울직을 칠지, 지방직을 칠지 선택해야 합니다.

 

 

국가직은 보통 3월이나 4월에, 서울과 지방직은 보통 5월이나 6월에 치러집니다.

2021년도 올해는 국가직은 4월 17일에, 서울과 지방직은 2021년 6월 5일에 치러집니다.

 

참고로 서울직은 서울, 인천, 경기 중에 2021년 1월 1일부터 응시일까지 거주하고 있는 사람이거나 1월 1일 이전에 3년 이상 거주했다는 응시 조건이 있습니다.

 

가장 많은 인원을 선발한 지역은 부산, 전남, 경기(북), 경기(남), 서울이며

가장 적은 인원을 선발한 지역은 울산, 강원, 대전, 세정, 광주, 제주입니다.

 

 

 

교육행정직 커트라인

교육행정직 20년도의 커트라인은 401.7점입니다

한 과목당 100점씩으로 5과목으로 500점 만점이기 때문에 꽤 높은 커트라인 축에 들어갑니다.

 

 

교육행정직 연봉

2021년도 1호봉 연봉은 1,659,500원입니다.

하지만 여기에 다양한 수당들이 붙어서 실제로는 200만 원 정도의 월급을 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

참고로 군필자 남자는 3호봉부터, 여자는 1호봉부터 시작합니다.

 

 

지금까지 워라벨이 보장된다는 교육행정직 공무원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코로나 때문에 고용이 불안정할수록 공무원처럼 안정적인 직업이 끌립니다.

다들 열심히 준비하셔서 좋은 결과 있길 바랍니다.

 

 

 

 

댓글